비트코인 기초

비트코인 실현손익/미실현 손익 차이는 뭘까?? (비코선장)

비코선장 2022. 4. 1. 12:13

반갑습니다. 비트코인하는 비코선장입니다.

이번에 포스팅할 주제는 비트코인 실현손익 과 미실현 손익

차이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번포스팅도 요약을 먼저 해보겠습니다.

< 미실현 손익은 무엇인가?>

내가 계속 소유하고 있던 주식의 가격이 상승했다고 하면 이것은 문서상으로만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손익실현 하지 않은 미실현 손익이라고 말한다고 합니다.

 

★ 실현 손익은 무엇인가?

주식을 처분하면 그로인해서 투자에서 최종적으로 발생한 손익이나 손실을 실현손익이라고 한다.

 

가상화폐 투자나 거래에서 제일 중요한 점은 손익실현과 미실현 간에 차이를 이해라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 이유 첫번째는 가상화폐 거래로 인해서 실제 수익이나 손실이 얼마인지를 암시한다고 합니다. 두번째는 잠재적인 조세납부의 의무를 이해하느 데도 중요하다고 합니다.

※ 실현손이나 미실현 손익의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자

 

가상화폐에서는 실현 & 미실현 손익 개념은 주식, 지분, 원자재와 똑같이 적용이되는 원칙에 기반한다고 합니다.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서 우선은 기업 주식을 거래하거나 투자하는 상황을 고려해봐야됩니다.

 

※ 미실현 손익은 무엇일까?

 

테슬라 주식을 1주당 5백달로 10주 또는 총5천달러의 투자를 했다고 하면 1주당 가격이 50달러 상승했다고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내투자 가치는 현재 5천5백달러 가량이 됩니다. 주식을 청산하지 않고 소유하고 있는한 이 수익은 문서로만 존재하기 때문에 미실현 상태라고 합니다.

 

이와 비슷한 사례를 말해드리면 주식 가격이 50달러 하락한다고 했을때 내 테슬라 투자 가치는 현재 4천5백달러가 된다. 이 역시 주식 청산을 하지 않으면 미실현 손실이라고 합니다.

※ 실현 손익은 무엇인가?

 

주식을 처분했을때 그로 인해서 투자에 최종적으로 발생한 손익이나 손실을 손익 실현이라고 말합니다.

 

일반적인 규칙 상에서는 제일 중요한것은 미실현 손익은 조세 납부 의무가 생기지 않습니다. 수익을 보기 위해서 자산을 처분한다고 하면 관할구역의 규정 여부에 따라서 자본소득세 부과 대상이 될 수있다고 합니다. 손실을 보고 처분한다고 하면 세금 부과액에서 자본 손실만큼을 공제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수익권에 있는 상태에서 테슬라 주식을 매각한다고 예를 들면 자본소득세가 적용되는 상황이라고 했을때, 5백달러의 수익에 대해서 세금이 부과된다고 합니다. 가격 하락 중에 매각한다고하면, 5백달러의 손실분에 대해서 세금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게 되어서 기타 소득을 상쇄시킬수도 있다고 합니다.

※ 실현&미실현 손익을 추적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밥의 예시까지만해도 상대적으로 단순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트레이더들이 여러 가격대에서 매수를 하고 계속 보유하고 있다고 하면 상황은 매우 복잡해진다고 합니다. 밥이 처음 1비트를 매수하던 시점에 이미 그 전 여러가지 매물대의 비트를 매수하여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하면 어떨까?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 주제인 실현손익 과 미실현 손익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더 궁금하신점이 있으시면 아래의 링크로 문의주시면 됩니다.

비트코인하는 비코선장이였습니다.

https://open.kakao.com/o/sznJ5oG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