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비트코인하는 비코선장 입니다.
이번에 포스팅할 내용은 크립토 주조와 채굴의 차이점을 알아볼려고 합니다.
물론 이미 알고 계신분들도 계시겠지만 처음 비트코인 하시는분들 한테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어보자 해서 이번 주제로 선택을 하였습니다.
크립토와 블록체인 산업을 처음 경험하는 투자자들은 가상화폐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계속해서 대화를 나눈다고 합니다. 사실은 이러한 대화에는 정규화폐 주조과정에 대해서 대화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상화폐 채굴은 금 채광과는 다르고, 화폐 주조와
실제 화폐 주조와 다 다르다고 합니다.
※ 가상화폐 채굴은 무슨 뜻일까?
가상화폐 채굴은 블록체이라고 알려져 있는 퍼블릭 디지털 기록으로 거래를 기록하고 검증까지 하는 절차를 뜻하는것 입니다. 이것을 위해서 채굴자는 복잡한 수학 문제를 해결하고, 그에 대한 대가로 가상화폐를 보상받는다고 합니다. 작업증명 절차에 따른 채굴의 결과는 새로운 블록이 생긴다고 합니다. 새로운 블록을 채굴하면서 블록체인의 연속성이 이어진다고 합니다. 그래서 채굴은 두 가지 목적을 수행을 한다고 합니다. 신규 코인을 생성하고 기존의 모든 토큰 기록을 유지하는것을 말합니다.
※ 크립토 주조도 채굴이라고 볼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흥미롭게도 크립토 주조도 채굴의 일부이라고 볼 수 있다. 쉽게 설명을 드리면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처음으로 새로운 블록이 해시되면 새로운 코인 주조가 트리거 된다. 그래서 여기 말하는것은 새로운 코인을 주조해서 탄생시키게 되고 바로 작업 증명을 통해서 이 과정이 채굴로 이루어지게 된다는것을 말합니다.
※ 가상화폐 주조는 무엇인가?
반면에 지분증명 메커니즘 하에서라면 코인은 채굴을 통하여 주조되는게 아니라 스테이킹으로 통해서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지분 증명에서는 채굴자가 아니라 검증자가 존재한다고 한다. 지분 증명은 사람들이 신규 블록을 채굴 하도록 하는것이 아닌 주조를 하거나 만들어지게 해야됩니다.
주조는 정보를 검증하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새로운 블록을 만들고 블록체인에
이러한 정보들을 기록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지분증명에서 주조 과정이란 블로
생성 과정과 블록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과정을 뜻합니다.
바로 이 점이 크립토 채굴과 주조 간의 가장 근본적인 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결국 작업증명과 지분증명이 달라져서 이런 차이들이 발생하게 됩니다.
※ 결론적으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가상화폐 주조 방식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차이점은
첫번째는 채굴을 통해서 작업증명이 이루어져야 주조가 된다.
두번째는 스테이킹을 통해서 지분증명을 해야만 구조가 된다는것을 알고 계시면 될꺼 같습니다.
코인이 주조가 되면 끝이지만 그런한 끝에는 도달하는 과정이 달라서 PoW / PoS라는 서로 다른 증명방식으로 귀결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두 과정 모두 목표는 동일합니다. 블록체인의 보안을 확보하고 새롭게 주조된 토큰을 탈중앙화 방식으로 배포하는 방법의 차이만 있다고 생각하시면 될꺼 같습니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 주제인 크립토 주조와 채굴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더궁금하신점이 있으시면 아래의 링크로 문의 주시면됩니다.
비트코인하는 비코선장이였습니다.
https://open.kakao.com/o/sznJ5oGc
'비트코인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율적인 시장가설에 알아볼까? (비코선장) (0) | 2022.03.31 |
---|---|
크립토 축약어는 또 뭐야? (비코선장) (0) | 2022.03.31 |
거래ID는 또 뭐야? (비코선장) (0) | 2022.03.31 |
비트코인 EOS는 뭘까? (비코선장) (0) | 2022.03.31 |
비트코인 내부자 거래는 뭐야? (비코선장) (0) | 2022.03.30 |